Study-ing/C
C언어 문제 풀이 [ 연산 ]
동빠기
2020. 2. 21. 11:14
합을 구하는 +나 곱을 구하는 *등의 기호를 연산자(operator)라고 합니다.
그 연산의 대상이 되는 변수나 상수 등을 피연산자(operand)라고 합니다.
a + b : a와 b의 합
a - b : a에서 b를 뺀 값
a * b : a와 b의 곱
a / b : a를 b로 나눈 몫
a % b : a를 b로 나눈 나머지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{
int n;
printf("정수를 입력사세요 : ");
scanf("%d", &n);
printf("10을 더하면 %d입니다.\n", n + 10);
printf("10을 빼면 %d입니다.\n", n - 10);
printf("10을 곱하면 %d입니다.\n", n * 10);
printf("10을 나눈 몫은 %d입니다.\n", n / 10);
printf("10을 나눈 나머지는 %d입니다.\n", n % 10);
return 0;
}
여기에서, printf 함수에서 %는 형식 지정자를 가리키기 위한 첫문자 역할을 합니다.
그러므로 형식 문자열이 아닌 %를 표시하기 위해서 %%를 사용 하여야 합니다.
ex) printf("n %% 5는 %d입니다.\n", n % 5)
2개의 피연산자가 필요한 연산자를 2항 연산자(binary operator)라고 합니다.
이외의 피연산자가 한 개만 필요한 단항 연산자(unary operator)
3개의 피연산자가 필요한 3항 연산자(ternary operator)가 있습니다.